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나는 내가 생각하는 것만큼 공부를 하고 있을까?

오래전에 TED를 가끔 즐겨 보던 때가 있었는데 기억에 남는 영상이 하나 있어 간단히 소개하고 엇비슷한 부분이 있어 그것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그 TED 영상은 "The optimism bias" 라는 제목으로 찾아보니 2012년 2월 영상이더군요. 굳이 해석을 하자면 낙관주의적 편향 정도가 되겠네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쯤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생각보다 흥미로운 주제인데다가 결론 또한 쉽게 이해된다고 느꼈던 터라 누구라도 재미있게 보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약간의 스포일 수 있지만 내용을 잠깐 언급하자면 인간은 보통 긍정적인 부분에 있어 과대평가하고 부정적인 측면은 과소평가한다는 내용을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분명 낙관주의적 편향은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다만 무엇인가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개선점이나 문제해결을 원한다면 낙관주의적 편향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인지편향적인 사고와 더불어 기억 왜곡은 인간 뇌가 갖는 작용 중 하나이기 때문에 학습을 할 때 자기 자신의 공부방법을 정확히 아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공부에 대해 착각하는 대표적인 예가 "나는 하루에 6시간은 공부를 해"라고 생각하는 학생의 실제학습시간은 3시간 42분 정도라고 합니다. 이를 "시간 환상"효과 라고 합니다. 서울대 학습분석팀 연구에 따르면 자기 보고 시간은 평균 1.8배 과장된다고 하네요. "시간 환상"효과와 더불어 "환경 효과 무시" 도 대표적인 착각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나는 어디서나 잘 집중해" 라고 착각하는 것이죠. 현실을 알고 보면 다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백색소음기를 켠 스터디카페 등 공간에서의 집중도가 82%이고 집에서의 집중도가 37%정도라고 하니 차이가 많게 착각을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착각은 인간의 뇌 기능 중 해마의 선택적 기억때...

최근 글

시험을 잘 치르는 방법

공부는 반복이다?

공부할 때 바람직한 휴식

시설 및 시스템 자랑

성실성(C; Conscientiousness)

관리와 자율성

시간블록 분할과 울트라디안 리듬

나의 패턴에 맞는 잠은 꼭 필요합니다.

공부하는 장소는 학습효과와 얼마나 관계있을까?

좌석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